재고자산
: 판매를 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자산 (상품 및 제품), 판매를 위해 현재 생산중에 있는 미완성품 (재공품), 판매용 자산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거나 소모될 자산 (원재료, 반제품) 등을 말한다.
Ο 재고자산의 사례별 분류
- 부동산매매업 - 판매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토지
- 오리 사육농장 - 판매하기 위해 사육중인 오리
- 항공기 제조회사 - 주문을 받아 생산 중인 항공기
- 건설회사 - 분양 목적으로 건설 중인 아파트
- 핸드폰 대리점 - 판매용으로 구입한 핸드폰
Ο 재고자산의 수량 결정 방법
계속기록법 : 상품이 입.출고 시 계속적으로 기록하고, 기말에 판매수량을 통하여 기말재고 수량을 확정하는 방법
기초수량 + 당기매입수량 - 실제출고(판매)수량 = 기말재고수량
실지재고조사법 : 상품 입고시에만 기록하고 정기 재고조사를 통해 실제 재고수량을 파악하여 출고수량을 확정하는 방법
기초수량 + 당기매입수량 - 기말재고실사수량 = 출고(판매)수량
혼합법 :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을 병행하는 방법으로 혼합법을 사용하면 감모수량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
계속기록법상 장부수량 - 실지재고조사법상 실제수량 = 감모수량
Ο 재고자산의 단가 결정 방법
개별법 : 개개의 상품 또는 제품에 대하여 개별적인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고가품판매업, 부동산매매업, 조선업 등에서 사용하며 이상적이고 가장 정확한 원가배분방법이다.
선입선출법 : 먼저 매입 또는 생산한 재고항목이 먼저 판매 또는 사용된다는 원가흐름을 가정하는 방법으로 기말재고로 남아있는 항목은 가장 최근에 매입 또는 생산한 항목이다.
(물량흐름과 원가흐름이 대체적으로 일치, 물가상승 시 이익이 과대계상)
후입선출법 : 가장 최근에 매입 또는 생산한 재고항목이 가장 먼저 판매 또는 사용된다는 원가흐름을 가정하는 방법으로 기말재고에 남아있는 항목은 가장 먼저 매입 또는 생산한 항목이다.
(물가상승 시 이익을 적게 계상하므로 법인세이연효과, 물가상승 시 기말재고자산이 과소 평가)
이동평균법 : 재고자산 매입시마다 평균단가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재고자산이 출고되는 시점에서의 평균 단가로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을 결정하는 방법.
총평균법 : 당기에 판매된 재고자산은 모두 동일한 단가라는 가정하에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을 결정하는 방법.
*재고자산감모손실
재고자산의 도난, 파손, 분실 등으로 인하여 기말재고수량이 장부와 실제와의 차이
재고자산감모손실 = (장부상 재고수량 - 실제 재고수량) x 장부상 취득단가
정상적 감모손실 : 매출원가에 가산 / 비정상적 감모손실 : 영업외비용으로 처리
Ο 기말재고자산에 포함할 항목
운송중인 재고자산(미착품) - 선적지인도기준 : 구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(선적 시 소유권 이전)
도착지인도기준 :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(도착 시 소유권 이전)
적송품(위탁품) - 수탁자가 보관하고 있는 미판매품은 위탁자의 재고자산에 포함
시송품(시용품) - 고객이 구입의사를 표시하기 전의 시송품은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
Ο 상품매매에 관한 등식 *암기*
환출 : 매입or매출 상품 중 불량품을 반품
에누리 : 매입or매출 상품 중 불량품으로 인한 에누리한 금액
할인 : 외상매입금or외상매출금 조기상환or조기회수에 따라 할인한 금액
비전공자 전산회계1급 : 비유동자산 (자본적지출,수익적지출,감가상각)
*유동성배열법 : 당좌자산 - 재고자산 - 유형자산 - 무형자산 Ο 비유동자산의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 자본적 지출 1. 자산의 내용연수(수명)을 증가시키는 지출 - 대폭적인 수선 및 대체 2. 자
first.dalz8.com
'발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전공자 전산회계1급 : 선수금 선급금/ 미수금 미지급금/ 가수금 가지급금 (0) | 2023.07.14 |
---|---|
비전공자 전산회계1급 : 분개 (0) | 2023.07.06 |
비전공자 전산회계1급 : 비유동자산 (자본적지출,수익적지출,감가상각) (0) | 2023.07.06 |
비전공자 전산회계1급 : 주요 계정과목 암기 (0) | 2023.07.06 |
비전공자 전산회계1급 : 회계의 기본개념 (0) | 2023.07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