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발전

비전공자 전산회계1급 : 재고자산

반응형

 

 

재고자산

: 판매를 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자산 (상품 및 제품), 판매를 위해 현재 생산중에 있는 미완성품 (재공품), 판매용 자산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거나 소모될 자산 (원재료, 반제품) 등을 말한다.

 

 

Ο 재고자산의 사례별 분류

  1. 부동산매매업 - 판매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토지
  2. 오리 사육농장 - 판매하기 위해 사육중인 오리
  3. 항공기 제조회사 - 주문을 받아 생산 중인 항공기
  4. 건설회사 - 분양 목적으로 건설 중인 아파트
  5. 핸드폰 대리점 - 판매용으로 구입한 핸드폰

 

Ο 재고자산의 수량 결정 방법

계속기록법 : 상품이 입.출고 시 계속적으로 기록하고, 기말에 판매수량을 통하여 기말재고 수량을 확정하는 방법

기초수량 + 당기매입수량 - 실제출고(판매)수량 = 기말재고수량

 

실지재고조사법 : 상품 입고시에만 기록하고 정기 재고조사를 통해 실제 재고수량을 파악하여 출고수량을 확정하는 방법

기초수량 + 당기매입수량 - 기말재고실사수량 = 출고(판매)수량

 

혼합법 :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을 병행하는 방법으로 혼합법을 사용하면 감모수량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

계속기록법상 장부수량 - 실지재고조사법상 실제수량 = 감모수량

 

 

Ο 재고자산의 단가 결정 방법

개별법 : 개개의 상품 또는 제품에 대하여 개별적인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고가품판매업, 부동산매매업, 조선업 등에서 사용하며 이상적이고 가장 정확한 원가배분방법이다.

 

 

 

선입선출법 : 먼저 매입 또는 생산한 재고항목이 먼저 판매 또는 사용된다는 원가흐름을 가정하는 방법으로 기말재고로 남아있는 항목은 가장 최근에 매입 또는 생산한 항목이다.

(물량흐름과 원가흐름이 대체적으로 일치, 물가상승 시 이익이 과대계상)

 

후입선출법 : 가장 최근에 매입 또는 생산한 재고항목이 가장 먼저 판매 또는 사용된다는 원가흐름을 가정하는 방법으로 기말재고에 남아있는 항목은 가장 먼저 매입 또는 생산한 항목이다.

(물가상승 시 이익을 적게 계상하므로 법인세이연효과, 물가상승 시 기말재고자산이 과소 평가)

 

이동평균법 : 재고자산 매입시마다 평균단가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재고자산이 출고되는 시점에서의 평균 단가로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을 결정하는 방법.

 

총평균법 : 당기에 판매된 재고자산은 모두 동일한 단가라는 가정하에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을 결정하는 방법.

 


*재고자산감모손실

재고자산의 도난, 파손, 분실 등으로 인하여 기말재고수량이 장부와 실제와의 차이

재고자산감모손실 = (장부상 재고수량 - 실제 재고수량) x 장부상 취득단가

정상적 감모손실 : 매출원가에 가산 / 비정상적 감모손실 : 영업외비용으로 처리

 


 

Ο 기말재고자산에 포함할 항목

운송중인 재고자산(미착품) - 선적지인도기준 : 구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(선적 시 소유권 이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도착지인도기준 :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(도착 시 소유권 이전)

적송품(위탁품) - 수탁자가 보관하고 있는 미판매품은 위탁자의 재고자산에 포함

시송품(시용품) - 고객이 구입의사를 표시하기 전의 시송품은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

 

 

 

Ο 상품매매에 관한 등식 *암기*

환출 : 매입or매출 상품 중 불량품을 반품

에누리 : 매입or매출 상품 중 불량품으로 인한 에누리한 금액

할인 : 외상매입금or외상매출금 조기상환or조기회수에 따라 할인한 금액

 

 

 

 

 

비전공자 전산회계1급 : 비유동자산 (자본적지출,수익적지출,감가상각)

*유동성배열법 : 당좌자산 - 재고자산 - 유형자산 - 무형자산 Ο 비유동자산의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 자본적 지출 1. 자산의 내용연수(수명)을 증가시키는 지출 - 대폭적인 수선 및 대체 2. 자

first.dalz8.com